본문 바로가기

다큐멘터리

룩 인투 마이 아이즈 2024(Look Into My Eyes 2024)

728x90
반응형

감독

라나 윌슨


 

"Look Into My Eyes"는 매체들과 그들의 고객을 다룬 논픽션 영화로, 이 영화의 핵심은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그들의 이야기를 할 때 느끼는 감정에 대해 생각하는 것입니다.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의 이름이나 직함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헤드라인이나 몽타주, 또는 다른 형태의 서사적 도움도 없으며, 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누가 매체인지, 누가 고객인지 스스로 알아내야 합니다. 

 

영화는 정보 수집과 전달 방식을 통해 중요한 내용을 전달하는데, 이는 많은 사람들이 회의적으로 여기는 직업을 다룬다는 점에서 적절한 접근 방식으로 느껴집니다. 이 영화는 라나 윌슨 감독이 연출했으며, 50년 이상 전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다른 유형의 다큐멘터리를 연상시키는 작품입니다. 

 

현대 관객들, 특히 오래된 영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다소 파편적이고, 모호하거나 "예술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화는 주로 감동적이고 깊이 있는 순간들이 많아, 일반적인 영화와는 다르게 관객의 주의를 끌 수 있습니다.

영화는 중년의 의사로부터 시작됩니다. 그녀는 20년 전 병원에서 10살 소녀가 교회에서 어머니와 함께 나오다가 총격 사건에 휘말려 사망하는 것을 목격한 후, 그 소녀가 저 세상에서 평화를 찾았는지 알고 싶어 매체를 찾아옵니다. 

 

영화는 그녀의 아픔과 희망이 뒤섞인 표정과 함께 검은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여러 매체들을 만나면서 공통점이 나타납니다. 몇몇은 입양되었으며, 문화적 또는 인종적 소외감을 느끼고, 이는 그들이 고객과 소통하는 데는 능숙하지만, 동시에 지배적인 문화로부터 소외된 느낌을 갖게 만듭니다. 

 

많은 매체들은 예술가이기도 합니다. 화가인 여성, 그리고 배우나 시나리오 작가 혹은 그 둘을 겸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매체들이 때때로 "낚시"를 하거나 고군분투하는 모습도 보이는데, 이는 가끔 사기꾼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또 다른 순간에는 아무런 단서도 없었는데도, 고객이 기대했던 영혼을 즉각 찾아내기도 합니다. 

매체들이 실제로 저 세상의 영혼과 소통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그들의 창의력과 공감 능력, 특정한 "공연자의 본능" (적절한 표현을 찾기 어렵지만), 그리고 일상적인 것 너머로 연결되고자 하는 마음과 고객의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일까요?

어려움을 겪는 젊은 매체 중 한 명은 세션 도중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젊은 남자의 모습을 떠올린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고객이 그와 관련이 없다고 하자, 촬영팀 중 누구라도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젊은 남자와 특별한 인연이 있는지 묻습니다. 아무도 없다는 답변을 듣고, 그는 피곤함을 탓하며 자신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사과하고 세션을 이어가려 합니다. 

 

별도의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이 진짜가 아닐까 두려워한다고 고백합니다. 즉, 자신에게 그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입니다.

다른 매체 중 한 명은 고객이 만났던 남자가 "숨 쉬기 어려워했다"고 물었고, 고객은 그 남자가 목을 매달아 죽었다고 답합니다. 이에 매체는 "확실히 숨 쉬기 문제군요."라고 말하며 어색한 분위기를 만듭니다. 매체는 자신이 그 고객과 학교 동창이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그 여성이 금발 머리였다는 것을 상기합니다. 

그는 어떠한 단서도 없이 고객이 만나러 온 사람이 브라이언이라는 것을 알아맞히고, 고객은 사진과 함께 중요한 물건들, 특히 선풍기를 꺼내 보입니다.

영화는 심령 현상이 진짜인지, 사후세계와 영혼이 존재하는지, 또는 이 세션들에서 측정할 수 있는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결론짓지 않습니다. 대신 사람들이 매체를 찾아가거나 매체가 되는 이유, 그리고 세션 도중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심을 둡니다.

윌슨 감독과 편집자 한나 벅은 대화와 감정의 흐름에서 생기는 공백과 주저, 침묵을 통해 많은 마법을 만들어냅니다. 고객이 매체를 찾은 이유를 요약하는 말을 듣고, 매체는 그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잠시 멈춥니다. 이어 영혼과의 접촉을 시도하면서 추가 질문을 던지는데, 그 사이에도 또다시 침묵이 이어집니다.

고객과 매체의 얼굴에 떠오르는 감정의 흐름 자체가 하나의 장관입니다. 영화는 일반적으로 이런 순간을 차분히 담아내지 않는데, 이 영화는 스타의 클로즈업이 아닌 단순한 사람들의 얼굴에서 그 가치를 재발견한 듯 보입니다.

세션 중 부끄러움을 경험한 매체는 자신이 더 큰 무언가와 연결되기를 원한다는 말을 합니다. 그들 모두가 그러합니다.

영화에서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모든 매체가 어느 정도 자기 몰두적이면서도 동시에 외향적이고 공감적이라는 사실입니다. 모든 매체는 고객의 이야기에 진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그들이 평화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물론 그 충동은 어디에서나 비롯됩니다.

영화의 가장 강력한 줄거리 중 하나는 작가이자 배우, 영화광인 한 매체와의 시리즈 방문입니다. 그의 집은 — ‘어수선하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합니다. 무질서하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이를 자각하고, 자신의 방이 더 엉망이라며 촬영팀에게 방을 찍지 말아달라고 부탁할 정도로 부끄러워합니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는 어린 소년과 나이 든 여인의 우정을 그린 월터 살레스의 "센트럴 스테이션"이고, 또 다른 좋아하는 영화는 "일반 사람들"입니다. 

 

그가 왜 이 두 영화를 좋아하는지 설명하려는 순간, 그는 울음을 터뜨립니다. 그도 그의 고객들처럼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모두가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더 큰 메시지일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고통스러운 개인적 경험의 짐을 짊어지고 있으며, 그 고통을 어떻게 관리하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즉시 그것을 인식할 수 있을지 결정됩니다. 

 

이 점은 모든 매체가 모여 그룹 치료 세션을 진행하며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마지막 부분에서 더욱 분명해집니다.

또 다른 매체가 말합니다. "완전히 이타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실 전혀 이타적이지 않아요. 모두가 치유를 받죠."

영화는 두 가지 의미에서 하나의 매체입니다. 사람들을 다른 사람들과 연결시키는 동시에 살아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과 연결시키는 매체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