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엘튼 존 - 본인 역
버니 토핀 - 본인 역
존 레논 - 본인 역 (아카이브 영상)
두아 리파 - 본인 역
감독
데이비드 퍼니시
R.J. 커틀러
"엘튼 존: 네버 투 레이트(Elton John: Never Too Late)"는 음악가 엘튼 존의 팬들이 감동적으로 받아들일 만한 영화로, 지적인 통찰력과 자각이 있는 왕족들이 흔히 의뢰하곤 했던 공식적인 유화 초상화를 연상시키는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Disney+를 위해 제작되었지만 극장에서 제한적으로 상영되고 있으며, 엘튼 존의 남편 데이비드 퍼니시(David Furnish)와 다큐멘터리 거장 R.J. 컷러(R.J. Cutler)가 공동 감독을 맡았습니다.
또한, 엘튼 존의 로켓 엔터테인먼트(Rocket Entertainment)가 제작을 담당했으며, 이는 그의 전기 영화 "로켓맨(Rocketman)"을 제작한 곳과 동일합니다. 이 영화는 "로켓맨"과 유사한 주제를 다루며, 엘튼 존의 라이브 공연 영상과 정지 사진을 활용한 오디오 중심의 몽타주를 통해 할리우드 드라마의 화려한 뮤지컬 판타지 넘버와 같은 서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존의 삶의 주요 사건들에 익숙하다면, 이 영화가 다루는 이정표들에 놀라지 않을 것입니다. 영화는 로스앤젤레스 트루바두르 클럽(Troubadour Club)에서의 커리어 전환점이 된 공연, 1969년부터 1980년까지 이어진 놀라운 앨범 및 싱글 발매 기록, 작사가 버니 토핀(Bernie Taupin)과의 끈끈한 우정, 중독과 회복, 매니저이자 첫 파트너인 존 리드(John Reid)에게 겪은 학대, 동성애자로 커밍아웃할 용기를 얻기 위한 투쟁, 결혼과 자녀를 갖기로 한 결정, 그리고 외모에 대한 스스로의 수용에 대한 고군분투 등을 다룹니다. 그는 야망만 있다면 "외모도, 목소리도 중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 영화에서 새롭게 다룬 내용으로는 존의 팟캐스트와 스스로의 유한성을 받아들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는 늦은 나이에 아버지가 되었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아내 퍼니시와 아이들과 함께 최대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투어를 은퇴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제야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다"며, 그의 아들들이 "내가 얼마나 나이가 많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내 죽음을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그는 "아이들이 결혼하고 손주를 보는 것을 원하지만, 내가 그것을 지켜볼 수 있을 것 같진 않다"고 덧붙입니다.
영화적으로, 이 작품은 완전한 진술이라기보다는 느슨하게 연결된 아이디어와 자료들의 모음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주제인 엘튼 존의 빛나는 음악과 그의 조용한 강인한 성격으로 묶여 있습니다. 영화의 리듬은 특히 그의 음악 녹음본이나 라이브 공연을 보여줄 때 멈추고 다시 시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정하게 말하자면, 영화는 이러한 창작의 순간을 비슷한 유형의 다큐멘터리보다 더 오래 머물러주며, 인터뷰로 빨리 전환하지 않는 점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존과 존 레논(John Lennon)이 매디슨 스퀘어 가든(Madison Square Garden)에서 함께 "Whatever Gets You Through the Night"를 부르는 공연을 제외하고는 온전한 곡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몰입하려는 순간 바로 장면을 전환할 때가 많아, 단순히 맛보기만 하고 넘어가는 영화보다 더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엘튼 존: 네버 투 레이트"는 존의 아카이브에서 가져온 편지, 계약서, 보도자료, 사진 및 가정 영화 자료로 인해 흥미를 끕니다. 또한 사진이 표면적으로는 아무렇지 않아 보이는 사람들의 격동적인 감정 상태를 포착하는 능력을 어떻게 보여주는지 주목할 만합니다.
그는 자신의 초창기에는 무대 위에서만 행복했다고 이야기하며, 이러한 관찰은 이미지로도 드러납니다. 이 영화는 존이 "양성애자"로 커밍아웃하며 자신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1980년까지, 그가 약물에 취하거나 비참해 보이지 않은 1974년부터 1980년 사이의 사진이나 영상 클립을 단 하나도 담고 있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존은 1990년에 회복에 들어갔으며 이후로 이를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존이 행복으로 향하는 긴 여정을 얼마나 멀리 왔는지 보는 것은 감동적입니다. 또한, 그의 초기 공연에서 뛰어난 보컬 능력과 훌륭한 가성을 자랑했던 시절과, 최근 라이브 공연에서 목소리를 한 옥타브 낮추며 더 이상 할 수 없는 것을 억지로 시도하지 않는 대조를 듣는 것도 즐겁습니다. 이제 그의 음악에는 예전에는 없었던 중량감이 느껴집니다. 그 안에서 지혜를 들을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베일드 2024(Surveilled 2024) (0) | 2024.11.30 |
---|---|
나이트 이즈 낫 이터널 2024(Night Is Not Eternal 2024) (0) | 2024.11.30 |
청춘(홈커밍)2024 (Youth (Homecoming) 2024) (0) | 2024.11.23 |
거장 존 윌리엄스 2024(Music By John Williams 2024) (0) | 2024.11.17 |
쿠데타의 사운드트랙 2024(Soundtrack to a Coup d'Etat 2024)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