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진
다니엘 크레이그 (William Lee 역)
드루 스타키 (Eugene Allerton 역)
제이슨 슈워츠먼 (Joe 역)
레스리 만빌 (Doctor Cotter 역)
드루 드로지 (John Dume 역)
각본
저스틴 쿠리츠케스
감독
루카 구아다니노
루카 구아다니노(Luca Guadagnino)는 이제 연출 자체만으로도 주목받는 감독 중 한 명이 되었으며, 다행히도 그가 선택하는 작품들은 그의 과감하고 장난감을 모두 뒤엎는 듯한 연출 스타일과 잘 어울립니다. 그의 올해 두 번째 영화인 “Queer”는 1954년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한 게이이자 마약 중독자인 미국인 작가(다니엘 크레이그 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하이퍼키네틱한 사랑의 삼각관계와 스포츠 드라마를 다룬 “Challengers” 이후 공개된 작품으로, 그는 자신의 영웅 중 한 명인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Rainer Werner Fassbinder)에 비견될 만큼 놀라운 생산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록 “Queer”는 이전 작품에 비해 보다 차분하고 심지어 장중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감독의 연출이 소극적이라는 비판은 절대 받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이 영화는 시대에 맞는 세트와 의상, 레트로한 제작 기법(후면 투사와 미니어처 건축물 및 풍경 포함)을 대담하게 혼합하는 한편, 고의적으로 시대를 초월한 음악 선택(예를 들어 너바나의 곡 사용)을 더하여, 1980년대 불법적인 영화감독이 만든 아트하우스 영화를 방불케 합니다. 이런 영화는 자정 시간대의 상영회를 통해 천천히 관객층을 구축했을 법한 작품처럼 느껴집니다.
또한, 노골적인 동성애적 이미지와 초현실주의적 요소, 모호함을 한데 담아냈으며, 서구 문화가 1950년대의 금욕주의, 파시스트적 편협함, 그리고 기업적 자기검열로 치닫고 있는 지금 시기에 특히 돋보입니다. “Queer”는 시대를 초월한 작품으로, 여러 면에서 시대에 맞지 않는 영화입니다. 이는 이 영화가 주는 활력을 더 돋보이게 만드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저스틴 커티즈케스(Justin Kurtizkes)가 각본을 맡은 이 영화는 윌리엄 S. 버로스(William S. Burroughs)의 동명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이 소설은 논란이 되었던 그의 작품 “Junkie”의 연장선으로 1950년대 중반에 쓰였으나, “Junkie”가 출판사의 검열을 받게 되자 사실상 작가에 의해 방치되었습니다. 이후, 이 소설은 1977년에 검열되지 않은 판으로 “Junky”(철자가 “y”로 변경됨)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당시, 대중은 약물 사용과 동성 간의 만남을 묘사한 내용을 보다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배경에 있었으며, 윌리엄 S. 버로스라는 작가와 브랜드에 익숙해질 시간도 충분히 있었습니다. 그는 중서부 억양을 가진 노년의 음유시인처럼, 불협화음을 이루는 음악과 함께 또는 없이도 주술적인 격언을 읊조리는 모습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12년 후, 그의 에이전트가 새로운 출판사와 큰 계약을 체결한 것을 계기로, 버로스는 잊혔던 “Queer”를 다시 꺼내 출간하였으며, 이는 문자 그대로 시대를 벗어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영화의 미학이 형성된 것입니다.
“퀴어”(Queer)의 스타일은 지리적 배경뿐만 아니라 시각적, 시간적으로도 유리된 느낌을 줍니다. 루카 구아다니노의 각색에서 현대적인 터치와 브레히트풍의 거리두기 장치가 자주 등장하는데, 특히 밀림에서의 확장된 장면은 전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거나 그러한 조명 연출로 제작된 듯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퀴어”가 현대적 감각을 지닌 작가의 작품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구아다니노는 인터넷 세대를 fluent하게 이해하며, 밈(meme)으로 소비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 두 주인공이 가짜처럼 보이지만 위협적인 뱀에게 반응하는 장면은 밈으로 널리 퍼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영화는 처음에 일종의 네오 누아르(Neo-Noir) 톤을 채택합니다. 다니엘 크레이그가 연기한 윌리엄 “빌” 리는 멕시코시티에서 마약과 값싼 술에 취해 젊은 남성을 유혹하며 시간을 보내는 중년의 작가로, 그의 삶은 서서히 무너지고 있습니다. 그의 가장 친한 친구인 조 가이드리(제이슨 슈왈츠먼)는 바에서 시간을 보내며 조롱 섞인 농담을 던지는 인물로, 자기 연민에 빠진 왕 같은 빌의 궁정 광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빌은 젊고 매력적인 미국인 유진 앨러턴(드류 스타키)에게 매료됩니다. 유진은 둥근 안경과 제로 체지방을 자랑하는 슬림한 몸매를 가진 인물로, 단정하게 잘 맞춘 옷을 입고 있으며, 영화 L.A. 컨피덴셜에서 가이 피어스가 연기한 캐릭터의 비밀스러운 동생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영화는 전통적인 플롯을 따르기보다는, 느슨한 사건의 축적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입니다. 이 모든 사건은 주로 빌의 내적 변화를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형성합니다. 그는 처음에는 유진이 게이인지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그가 게이라면 스스로 이를 인지하고 행동에 옮기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진은 종종 명확한 관심을 보이는 듯한 시선을 빌에게 보내지만, 지역 카페에서 빌을 지나쳐 다른 여성과 시간을 보내며 그에게 모호한 신호를 보내는 모습도 보입니다. 이 두 남성 사이의 더디게 진행되는 법적 구애는 영화의 첫 부분을 이루며, 이는 빌에게 부인할 수 없는 감정을 남깁니다.
이후 빌과 유진은 서로에게 끌리게 되고, 현실적인 시간 속에서 육체적 열정을 펼치는 장면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한동안 주류 영화에서 보지 못했던 수준의 솔직함과 정직함을 보여줍니다.
그 지점부터 “퀴어”는 점점 파괴적이고 어리석은 사랑 이야기가 됩니다. 이는 유진에게는 해로운 결과를, 빌에게는 자기 파괴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빌은 친구 조에게 은혜를 베푸는 듯한 태도를 보이지만, 그도 조와 다르지 않게 자신의 욕망에 얽매인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이 이야기는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과 루키노 비스콘티의 영화와 연결점을 가집니다. 여기서 중년의 예술가가 젊은 소년에 집착하며, 그 집착이 성적이라는 것을 깨닫는 과정에서 느끼는 공포가 강조됩니다. 유진은 20대 초반의 성숙한 성인으로 자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그의 빌에 대한 태도는 일종의 '아버지 이슈(daddy issue)'를 떠올리게 합니다.
영화는 시간이 지날수록 절제나 통제를 포기하고 대담하고 의도적으로 부조리한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두 남성은 서로와 마약에 점점 빠져들며 정신을 잃고, 결국 빌이 초능력을 얻을 수 있는 환각제를 찾기 위해 열대우림 깊은 곳으로 들어갑니다. 이 약은 그의 대화에서 자주 언급되며 어떤 중요한 사건의 전조인 듯 보이지만, 그 결과는 전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레슬리 맨빌이 연기한 광기 어린 화학자는 이 약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인물로 등장합니다. 그녀는 훨씬 젊은 동료와 함께 외딴 오두막에서 생활하며, 그녀의 행동은 거의 일종의 '1인 숭배 집단'과 같은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그녀는 총을 손에서 놓지 않으며, 사람들을 정신적, 신체적으로 공포에 떨게 합니다. 그녀의 존재는 영화의 클라이맥스를 가져오며, 사실상 영화의 주도권을 완전히 가져가버립니다.
이 영화는 마치 '영화 도둑(Grand theft cinema)'처럼, 그녀가 모든 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떠나는 순간을 선사합니다.
크레이그는 이 영화에서 주연으로서 정당한 찬사를 받은 연기로 놀라운 변신을 보여줍니다. 그는 영화배우로서의 전성기에서 벗어나 자신의 본질적인 캐릭터 연기 능력을 발휘하면서도, 그 시기의 흔적을 섬세하게 녹여냈습니다. 마치 1960~70년대의 윌리엄 홀든이나 1980년대의 클린트 이스트우드 같은 전성기를 지난 강렬한 매력을 가진 배우가 보여주는 연기처럼 느껴집니다.
크레이그는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도 캐릭터의 자기인식과 자기학대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한편으로는 자신이 얼마나 타락할 수 있는지를 즐기는 듯한 빌의 고뇌 어린 유머감각도 살려냅니다. 빌은 타락으로 빠져들 때 종종 그것을 즐기는 모습조차 보이는데, 그의 추락이 심해질수록 오히려 모든 가식을 벗어버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연기는 단순히 한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을 넘어, "인생 자체가 하나의 연기"라고 느끼게 만드는 빌의 본질을 완벽히 표현합니다. 그가 낯선 이들이나 가까운 사람들에게 자신의 속마음을 들키는 순간에도, 그는 과거에 자신이 되고자 했던 강렬한 인물의 상실에 대한 슬픔을 조금씩 드러냅니다. 화려한 언변과 세상 경험에서 우러나온 듯한 지혜를 가장하고 있지만, 그는 자신의 슬픔을 온전히 깨닫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인물입니다.
드류 스타키 역시 크레이그 못지않게 창의적이고 헌신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어떤 면에서는 더 인상적인 연기를 펼칩니다. 그의 캐릭터는 마치 광인이 운전하는 차에 동승한 승객과 같아서, 중간에 차에서 내릴 기회가 많았음에도 결국 내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유진 앨러턴은 내성적이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로, 자신의 매력을 인지하고 있지만 그것을 전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는 한껏 긴장을 풀고 있을 때조차도 내면의 혼란을 느끼고 있으며, 그의 얼굴 표정만으로도 모든 생각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감정을 투명하게 드러냅니다.
“퀴어(Queer)”는 영화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하지 않으며, 톤이나 미학적 취향조차도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이 영화는 스스로를 점점 더 우스꽝스럽고 고딕적으로 과장된 방향으로 몰고 가면서도 관객들에게 끝없는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영화 후반부에는 의수, 인형극, CGI 등이 사용되며, 영화는 점차 해체되기 시작합니다.
결국, 이는 마치 약물 중독자가 배수구에서 약봉지를 꺼내려는 시도처럼 현실을 넘어 우주적인 차원에 도달하고자 발버둥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장면은 스탠리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스타게이트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데, 영화가 현실을 떠나 감각적이고 추상적인 경지로 나아가면서 이런 유사성을 느끼게 합니다.
이 영화가 과도하게 느껴질까요? 물론입니다. 하지만 이 감독의 다른 작품들처럼, 이 “지나침” 자체가 영화의 핵심이고, 그것이 관객들에게 의도한 강렬한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영화는 마치 데이비드 크로넌버그의 “네이키드 런치(Naked Lunch)”를 연상시키는 어두운 환상적 미학을 보여주며, 윌리엄 버로스의 실제 삶에서 비롯된 가장 충격적인 순간을 무대 위에 재현합니다.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은 관객들을 의도적으로 좌절시키고 천천히 감정을 끌어내며, 이러한 연출 방식을 즐기는 듯 보입니다. 이는 현대 영화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자신감 넘치는 시도이며, 거대 예산의 광고처럼 매끈한 비주얼 속에서도 어둡고 시적인 감성을 드러내는 그의 독창적 미학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의 영화는 춤추는 듯한 움직임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며, 이 움직임 자체가 영화의 본질임을 알려줍니다.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 알 낫 미(You Are Not Me 2024) (0) | 2024.12.22 |
---|---|
세나 2024(Senna 2024) (0) | 2024.12.18 |
마리아 2024(Maria 2024) (0) | 2024.12.16 |
시드 오브 세이크리드 피그 2024(The Seed of the Sacred Fig 2024) (0) | 2024.12.16 |
화이트아웃(Whiteout 2024) (0) | 2024.12.02 |